dotenv는 API 키를 사용하거나 할 때 깃허브에 업로드하면 안 되는 것들을 숨겨놓는 역할을 한다.
npm install dotenv
설치하고
REACT_APP_GOOGLE_MAP_API = 숨길키
폴더 구조 최상위(.gitignore, package.json이랑 같은 위치)에 .env 파일을 만들고 .gitignore에 .env를 써준 다음에
.env 파일 안에 저렇게 숨길 내용을 넣어주면 된다.
리액트에서는 REACT_APP_으로 prefix를 해줘야 정상적으로 읽는다.
const mapKey = process.env.REACT_APP_GOOGLE_MAP_API;
이런 식으로 사용하면 된다.
create-react-app으로 만든 리액트 프로젝트에는 이미 dotenv 패키지가 내장되었기에 많은 블로그에서 나오는
import dotenv from "dotenv";
dotenv.config();
// require("dotenv").config();
저 둘 중 하나로 불러오는 코드가 필요가 없다. import 넣어서 줄줄이 에러 나와서 삽질 좀 했다
Compiled with problems:X
[React] Webpack으로 구축한 React 프로젝트에서 환경 변수(.env) 사용하기
TL;DR Webpack을 통해 직접 구성한 리액트 프로젝트 .env 파일에 환경 변수를 선언할 때 REACT_APP_ 으로 시작하지 않아도 됨 dotenv 패키지: DefinePlugin 을 통해 수동으로 전역 변수 정의 dotenv-webpack 패키..
db2dev.tistory.com
그리고 이 글을 쓴 목적은
💡⭐🌟dotenv는 서버를 껐다 켜야 반영이 된다!🌟⭐💡
콘솔 찍어봐도 undifined 떠서 계속 디버깅했는데 사실 서버 재시작을 안 해서 생긴 문제였다는 점!
'TROUBLE SHOOT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HUB] 깃허브에 Daily Commit 스타일 핀하기 (0) | 2022.02.25 |
---|
댓글